대학개요
- 대학개요
- 충남농업마이스터대학
농업마이스터대학의 정의
- 최신 고급기술과 경영능력을 갖추고 이를 전수할 수 있는 전문농업경영인(농업마이스터) 육성을 목표로 운영
- 교육생 중심의 교육, 다양하고 효율적인 현장위주의 수업, 전문성과 현장경험을 겸비한 우수강사 초빙 등을 통하여 국내 최고의 실습형 현장중심 기술, 경영 교육과정
- 농업마이스터대학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여 전국 9개 도와 함께 현장실습중심의 실용교육을 통해 전문농업경영인(농업마이스터) 육성을 위해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장기(2년) 교육과정입니다.
- 동 교육과정은 「고등교육법」상의 정규대학이 아닌 농업인의 기술ㆍ경영 역량 향상을 위한 평생학습과정입니다.
기본방향

교육방향
- 농업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밀착형 기술교육
- 농업인이 가장 시급하고 필요로 하는 교육 내용
기본 원리를 학습하고, 원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실습을 수행하는 현장 밀착형 교육기술력 향상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소득증대와 직결될 수 있는 핵심기술 전달 교육
- 농업인이 가장 시급하고 필요로 하는 교육 내용
- 단계별 명확한 교육목표 설정, 구체적인 학습목표 제시
단계별 명확한 교육목표 설정(예시) 매 교과목별 구체적인 학습목표 제시(예시) - 마이스터대학: 고급기술과 경영능력을 갖춘 전문농업경영인 육성
- 학과: 축산분야 최고의 기술과 경영능력을 갖춘 축산전문가 육성
- 전공: 모돈 1마리당 MSY 27두 이상을 생산하는 선도양돈인 육성교육생들이 학습목표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목표 설정
양돈 발톱깍기 교과목 : 발톱깍기 기술습득을 통해 양돈의 육질 고급화 - 발전단계별 난이도를 고려한 교과목 배치
- 학기별 교육생 발전단계를 감안하여 프로그램 개발
농업인이 가장 시급하고 필요로 하는 교과목을 우선 배치하되, 교과목별 난이도를 감안하여 교육효과 및 수준향상 지원
- 학기별 교육생 발전단계를 감안하여 프로그램 개발
추진근거
- 지원근거
- 농업·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39조(농어업경영체의 경영안정 및 구조개선 등의 지원)
- 농어업경영체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2조(농어업교육 계획의 수립 등), 제23조(농어업인단체 등의 교육운영 지원)
- 재원
- 농특회계 농업인 교육훈련사업
- 지원형태 : 지자체 경상보조
- 전체 재원 비율 : 국고 50%, 지방비 25%, 교육생 자부담 25%
- 직접교육비
임차비, 교재 및 실습재료비, 식대·다과비, 강사비
- 간접교육비
인건비(학장, 캠퍼스장, 주임교수, 과정장), 교육운영지원비, 일반관리비
- 국외연수과정
- 전체 재원 비율 : 국고 50%, 지방비 25%, 교육생 자부담 25%
농업마이스터대학 수료 시 혜택
- 수료조건 충족 시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충남농업마이스터대학 학장 공동 명의의 졸업장을 수여
- 농업마이스터대학 수료 농업인에 대해 자금지원 우선
- 농림수산사업실시규정 제24조(자금지원우선순위안 작성) ② 시군등의 사업부서가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신청자의 자금지원우선순위안을 작성할 때에 다른 조건이 같을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신청자에게 우선하여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.
- 4.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및 2년 이상의 장기 농림수산교육(농업마이스터대학 등)을 수료한 자
- 소정의 절차에 따라 농업마이스터로 지정 시, 후계농 지도(농업계 고등학교 및 대학, 귀농자 등 연계), 농어업경영컨설팅 컨설턴트, 현장교수(WPL 교육) 등의 자격 부여
충남농업마이스터대학 추진경과
- ‘09. 2 농업마이스터대학 선정 (3개 캠퍼스, 10개 전공)
- ‘09. 3 제1기 개교 및 입학식 (입학생 292명 입학)
- 4년제 운영
- 제1ㆍ2기(’09~’12년) : 10개 품목전공 운영, 272명 졸업
- 2년제 운영
- 제3기(’13~’14년) : 12개 품목전공 운영, 215명 졸업
- 제4기(’15~’16년) : 12개 품목전공 운영, 224명 졸업
- 제5기(’17~'18년) : 12개 품목전공 운영, 233명 졸업
- 제6기(’19~’20년) : 12개 품목전공 운영, 239명 졸업
- 제7기(’21~’22년) : 12개 품목전공 운영, 207명 졸업
- 제8기(’23~’24년) : 12개 품목전공 운영, 229명 입학
2023년 운영현황
- (대학구성) 1개 본부, 1개 캠퍼스로 구성(12개 전공, 인원 229명)
대학 품목(전공) 정원 충남대학교
[본부]한우1, 양봉, 딸기, 블루베리, 버섯(양송이) /
토마토(청년농)전공별 20명
(*총정원 한도 내에서 정원(20명)의 20%까지 추가 선발 가능)공주대 예산캠퍼스
[캠퍼스]한우2, 조미채소, 사과, 포도, 조경수 /
양돈(청년농) - 재학현황 : (2023. 1월 기준)
구분 합계 품목 (전공) 충남대학교(본교) : 112명 공주대 예산캠퍼스 : 117명 한우(1) 양봉 딸기 블루
베리버섯
(양송이)토마토
(청년농)한우(2) 조미
채소사과 포도 조경수 양돈
(청년농)입학
인원
(명)229 17 21 23 17 16 18 23 18 24 18 20 14
주소 및 연락처
- 학교별 연락처
구분 대학명 주소 연락처 본교 충남대학교
농업생명과학대학
34134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
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
(농업과학기술센터 101호)Tel. 042-821-8757, 8758
Fax. 042-821-8759캠퍼스 공주대학교
산업과학대학
32439 충남 예산군 예산읍 대학로 54
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산업관 718호Tel. 041-333-9531, 330-1162
Fax. 041-330-116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