입학전형
신청대상
- (농업마이스터 과정) 해당 품목의 영농경력 등 자격을 충족하는 농업인
- (청년농업CEO 과정) 40세 미만인 창업 초기단계의 청년농업인
교과과정
- ① 마이스터 과정
- (수료요건) 2년 4학기 32학점(480시간) 이상 이수 - (교과과정)
구분
내용
학점비율
비고
전공
필수
- 품목별 전국 대학 필수편성 과목(핵심 영농기술 관련)
30%
-
선택
- 대학별 선택 과목(분야별 영농기술 관련)
- 경영, 정책·법규, 유통·마케팅, 교수법 과목
50~60%
전공선택과 일반교과는 ±10% 내에서 조정가능
일반
- 대학자율 개설과목, 특강(정책, 이슈 등을 다룬 과목)
10~20%
* 15시간당 1학점 부여, 교과목당 1~3학점으로 구성
- (학기) 제1학기(1월∼6월), 제2학기(7월∼12월)
- (수업) 전공별 주1회, 1일 6~8시간 교육운영 - ② 청년농업 CEO 과정
- (수료요건) 1년 2학기 12학점 이상 이수(180시간 이상)
- (교과과정) ① 품목기술교육 ② 선도농 멘토링 ③ 학습조직활동으로 구성
농업마이스터대학 수료 시 혜택
- 수료조건 충족시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충남농업마이스터대학 학장 공동 명의의 졸업장 수여
- 농업마이스터대학 수료 농업인에 대한 우대 정책
- 근거 : 농림수산사업실시규정 제24조(자금지원우선순위안 작성) ②항
- 농림수산사업실시규정 제24조(자금지원우선순위안 작성) ② 시군등의 사업부서가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신청자의 자금지원우선순위안을 작성할 때에 다른 조건이 같을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신청자에게 우선하여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.
- 4.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및 2년 이상의 장기 농림수산교육(농업마이스터대학 등)을 수료한 자
- 소정의 절차에 따라 농업마이스터로 지정 시 후계농 지도(농업계 고등학교 및 대학, 귀농자 등 연계), 농어업경영컨설팅 컨설턴트, 현장교수(WPL 교육) 등의 자격 부여
응시자격
- ① (기존, 마이스터과정) 일반전형, 특별전형으로 구분
가. (일반전형) 입학을 신청하는 전공과정의 품목을 5년 이상 재배․사육한 경력이 있는 중상급 이상의 기술을 보유한 농업인
나. (특별전형) 입학을 신청하는 전공과정의 품목을 3년 이상 재배․사육한 경력이 있고, 아래 ①~③요건 중 1가지 이상을 충족하는 자
① 아래 사항에 모두 해당되는 자
▪ 관할 시장/군수/농업기술센터 소장의 추천을 받은 자
▪ 최근 1년간 농업 관련 교육을 100시간 이상 받은 자② 우수후계농업경영인으로 선정된 자
③ 농식품 국가인증 또는 국가기술자격을 받은 자
* 단, 입학을 신청하는 품목전공과 관련된 인증(자격)만 인정 - ② (신설, 청년농과정) 2030세대(40세 미만)인 창업 초기단계 농업인으로서, 아래 ①~③요건 중 1가지 이상을 충족하는 자
① 아래 사항에 모두 해당되는 자
▪ 관할 시장/군수/농업기술센터 소장의 추천을 받은 자
▪ 최근 1년간 농업 관련 교육을 100시간 이상 받은 자② 후계농업경영인으로 선정된 자
③ 농업인 확인서 발급이 가능한 자
전형방법
- (공통) 서류(60점) + 면접(40점), 가산점(10점 이내)
- (서류) 영농사실 확인, 품목, 영농규모, 자기학습계획서 등 확인
- (면접) 관련 품목 전문성, 교육 참여의지 등 심사
* 10점 이내에서 가산점 부여(관련 분야 공인자격증 및 표창증 사본 등)
등록금
- (공통) 연간 등록금 100만원 내외(직접교육비의 30%)
* 보조금 75%(국고50%, 지방비 25%)
선발절차 및 모집일정
- 선발절차
- 모집공고
- 원서접수서류심사
- 서류심사
- 면접심사
- 합격자발표
제8기('23~'24년) 9개도 농업마이스터대학 품목전공개설 현황
- 대학(9개), 캠퍼스(27개), 품목전공(102개)
구분 캠퍼스명(전공수) 8기 품목전공
( 신규품목, 청년농 )경기 (10) <본부> 한경대학교(8) 사과, 포도, 화훼, 낙농, 한우1, 한우2, 육우, 딸기2(청년농) 경기농업기술원(2) 시설채소, 딸기1(청년농) 강원 (09) <본부> 강원대학교(5) 사과1, 친환경한우, 친환경채소, 시설채소(청년농), 인삼(청년농) 상지대학교(2) 참다래, 한우 강릉원주대학교(2) 딸기, 사과2 충북 (10) <본부> 충북농업기술원(10) 수도작, 복숭아, 사과1, 사과2, 인삼, 한우, 양봉, 친환경채소, 딸기(청년농), 한우(청년농) 충남 (12) <본부> 충남대학교(6) 딸기, 블루베리, 버섯(양송이), 한우1, 양봉, 토마토(청년농) 공주대학교 예산캠퍼스(6) 사과, 조미채소, 포도, 조경수, 한우2, 양돈(청년농) 전북 (16) <본부> 전북농식품인력개발원(8) 수도작, 고추(시설), 딸기, 블루베리, 시설채소, 양봉, 딸기(청년농), 토마토(청년농) 전북대학교(4) 한우, 양계, 포도, 양돈 한국농수산대학(4) 사과, 인삼, 약용작물, 친환경채소 전남 (16) <본부> 순천대학교(6) 토마토, 참다래, 조경수, 양봉, 친환경한우, 아열대과수(청년농) 전남대학교(4) 배, 한우, 흑염소, 친환경채소(청년농) 목포대학교(2) 조미채소, 약용작물 전남농업기술원(2) 수도작, 포도 (사)한국온실작물연구소(2) 딸기, 시설채소 경북 (12) <본부> (재)경북농민사관학교(1) 참외 경북대학교(4) 사과1, 포도, 버섯, 포도(청년농) 영남대학교(1) 복숭아 대구대학교(2) 딸기, 한우1 안동대학교(2) 사과2, 양봉 경북도립대학교(1) 한우2, 한우(청년농) 경남 (10) <본부> 경남농업기술원(5) 고추(시설), 딸기, 시설채소, 토마토, 시설채소(청년농) 경상국립대학교(4) 단감, 사과1, 사과2, 한우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(1) 양돈(청년농) 제주 (07) <본부> 제주대학교(5) 감귤1, 참다래, 한우, 친환경과수2, 감귤(청년농) 제주농업기술원(2) 감귤2, 친환경과수1